반응형

전체보기 200

Unity3D - 펭귄얼음깨기3D 개발일지 (1)

[2020-11-06] - 기본 지형지물 구현 완료 - 사용자가 자유로이 이동하며 원하는 위치에 공을 던져 블럭에 충격을 가할 수 있게 구현 완료 - 사용자가 던진 공이 블럭에 닿는 즉시 사라지도록 구현 (공이 남아 블럭에 힘을 가하지 않도록 위함) 1. Ring - 경기장 지형 완료 실제 펭귄얼음깨기 보드게임과 동일한 Hexagons 배치를 하였습니다. Black Block은 Border로서, Border 안쪽의 Ice를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실제 보드게임에서 플라스틱 재질의 블럭을 끼워서 마찰로 떨어지지 않게하는것을 모방하였습니다. Border 안쪽의 Ice들입니다. 이 또한 실제 보드게임에서 마찰을 통해 상호 유기작용으로 잡아주어 중력에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Border / Ice 둘 다 ..

15649번: N과 M(1)(백준 C++)

15649번: N과 M(1) 링크 코드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n, m; vector v; bool check[9] = {0, }; void solve(int cnt){ if(m == cnt){ for(int i=0; i 2 -> ?? 1을지나 2를 지나서 3번째 숫자를 다시 선택하게 되는것이다. 그렇다면 선택지가 3 4 인가? 아니다. 이미 우리가 3을 썼다는 것을 Check Array로 알기 때문이다. 해서 다시 우리가 선택할 선택지는 4가 되고 이를 골라서 1 2 4를 출력한다. 이를 계속 반복하면 된다. 그림이 없는 설명이라 상당히 이해하기 어렵다고 생각이 된다. 그런 분들은 따로 깊이우선탐색, 넓이우선탐색에 대해 찾아 보신 후, 백트래킹까지 ..

공부/백준 2020.11.04
반응형